::고려인너머::
고려인너머소개 활동 땟골이야기 자원봉사 및 기부,나눔 후원하기 ГОВОРИМ ПО-РУССКИ
 
bbs_sub_5_1.jpg
 
 
작성일 : 19-01-04 11:16
“이토 히로부미 처단” 안중근, 노비 출신 최재형과 결의 그 후 10년 연해주에 첫 임시정부가 탄생했다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14,332  
   https://news.joins.com/article/23257966 [6132]
100주년을 맞는 임시정부의 흔적을 찾아 연해주(沿海州) 답사에 나서는 가슴은 무거웠다. 옛 발해 땅에 대한 안타까움은 물론 스탈린에 의한 고려인들의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의 아픔을 잘 알기 때문이다. 인천공항에서 2시간 반이면 도착하는 땅, 러시아 연해주는 그동안 너무 멀리 잊혀 있었다. 
  

최재형, 아홉 살 때 러시아로 이주
선원 출발, 큰 돈 모아 의병 길러내

1919년 3월 대한국민의회 발족
꺼져 가던 조선의 망명정부 꿈꿔

안중근의 혼 담긴 ‘단지동맹비’
발해의 옛 땅 크라스키노에 우뚝

1919년 3월 17일 연해주의 한인들은 1910년 일제의 국권 강탈 이후 최초의 임시정부(대한국민의회)를 연해주에 세웠다. 당시 연해주에 살던 한인들은 누구였나. 구한말 1860년대부터 학정과 굶주림을 피해 목숨을 걸고 두만강을 건넌 동포들이다.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으로 외교권을 빼앗기고, 1907년 일제에 의해 군대가 해산되고 고종까지 폐위되자 항일의병이 대거 두만강을 건넜다. 의병들은 먼저 이주한 한인들과 손잡고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바위에 새긴 안중근의 왼손. 넷째 손가락을 잘랐다.

바위에 새긴 안중근의 왼손. 넷째 손가락을 잘랐다.

연해주 크라스키노의 단지동맹비(斷指同盟碑)를 찾은 날엔 비가 추적추적 내렸다. 연해주 독립운동사를 줄줄 외는 최재형기념사업회(이사장 김수필) 연해주지부장인 조미향(51·여)씨는 자부심 가득한 말투로 설명했다. 
  
“여러분들이 지금 달리는 이 길은 바로 독립운동가 최재형(1860~1920) 선생이 한인들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제정 러시아 니콜라이 2세 차르로부터 첫 은급 훈장도 받았습니다. 100주년을 맞아 임시정부 재무총장(재무부 장관에 해당)이었던 최재형 선생은 꼭 알아야 할 분입니다.” 
  
최재형이 누구인가. 노비의 아들로 아홉 살에 두만강을 건너 6년 동안 러시아 상선을 타고 세계를 두 번이나 돌아본 한국인이다. 유창한 러시아어로 한인들을 도와 ‘페치카(벽난로)’란 애칭으로 불렸던 그의 삶은 영웅담과도 비슷하다. 
  
임시정부 루트

임시정부 루트

관련기사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크라스키노까지 반나절을 달려가는 동안 논밭은 잡초로 우거져 있었다. 연자방아 맷돌과 녹슨 쟁기 보습이 발견되는 비옥한 땅이었다. 이 땅의 이름은 크라스키노. 중국에서 옌추(煙秋)라 부르고 러시아에서 크라스키노로 바뀌기 전까지 ‘얀치혜’라고 불렀다. 발해 염주(鹽州)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땅에 발해가 있었고, 고구려가 있었다. 최재형 선생의 저택이 있었고, 최 선생이 러시아 지방정부의 도헌(읍장 또는 군수)으로 임명돼 다스렸던 곳이다. 
  
러일전쟁(1904~1905) 이후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고발하려던 고종의 밀사 이상설(1870~1917) 선생과 이준(1859~1907) 열사도 이 땅을 거쳐서 갔다. 1907년 해외로 망명한 ‘대한제국 의군 참모 중장’ 안중근(1879~1910) 의사가 최재형 선생을 운명적으로 만난 곳도 여기였다. 최재형과 국내진공작전을 감행했던 안중근은 인심결합론을 외쳤다. “합하면 이루고 흩어지면 패한다. 이는 만고의 진리다(合成散敗萬古眞理).” 
  
최재형 선생이 간도 관리사 이범윤, 러시아 공사 이범진의 아들 이위종, 안중근과 함께 1908년 최초의 독립단체 동의회(同義會)를 조직한 곳도 자신의 크라스키노 저택이었다. 800여 명으로 추정되는 대한의군의 숙식을 제공할 만큼 규모가 컸던 저택은 흔적도 없고 우수리스크에 남은 고택만이 ‘최재형기념관’으로 새로 단장됐다. 
  
1909년 봄 안중근은 왼손 넷째 손가락(무명지)을 잘라 그 피로 태극기에 ‘대한독립(大韓獨立)’ 네 글자를 쓰고 11명의 동지와 함께 ‘동의 단지회 동맹(단지동맹)’을 결성했다. 그해 10월 대동공보사(사장 최재형)에서 이토 히로부미 처단 계획을 최재형과 논의한 안 의사는 같은 달 26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주살(誅殺)했다. 최재형이 건넨 권총으로 한반도 불법 침략의 죄를 물어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것이다. 안중근 의거로부터 10년 뒤인 1919년 3월 17일 노령(露領, 러시아 땅)에서 최초의 임시정부인 ‘대한국민의회’가 생긴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황량한 벌판에 우뚝 솟은 검은색 비석에는 안중근 의사의 넷째 손가락이 잘린 왼손 모양이 또렷하게 새겨져 있다. 15개의 정사각형 돌은 열다섯 가지의 하얼빈 의거 이유를 상징했고, 단지의 형상은 핏방울 모양이다. 안중근 의사의 결기에 찬 음성이 들리는 듯하다. 
  
“우리의 목표는 두 가지. 첫째는 이토 히로부미를 주살하는 일이요, 둘째는 이완용을 처단하는 것이다.” 
  
안중근의 왼손이 음각된 곳에 손을 얹고 사진을 찍는 탐방객에게 소감을 물어봤다.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거 장면도.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거 장면도.

“거룩한 분들이죠. 독립운동가들의 나라 사랑 정신을 지금은 천 분의 일도 상상할 수 없어요. 항상 감사해야 하는데….” 
  
지금은 석탄 하적장으로 변한 포시예트 항구는 두만강이 흘러드는 동해에 자리하고 있다. 11세 소년 최재형이 배고파서 가출한 뒤 쓰러져 러시아 선장 부부가 내민 구원의 손길을 붙잡고 ‘최 표트르 세메노비치’로 거듭난 곳이다. 마치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의 유진 초이(이병헌 분)처럼 노비의 아들이 훗날 독립운동가를 도운 것처럼. 훗날 남과 북이 자유롭게 오가고 러시아와 교역이 왕성하게 이뤄진다면 포시예트 항구 어디쯤 소년 최재형과 러시아인 선장을 한·러 우호의 상징으로 삼아 기념 동상이라도 세움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쑤이펀 강가의 발해 성터(추정지) 언덕 위에 올라서 보니 말떼가 갈기를 세우고 달려오고 있었다. 발해의 솔빈부(率濱府)는 말을 키우던 곳이다. 명마들의 질주를 바라보니 발해의 웅혼한 기상이 바람에 묻어났다. 최초의 임시정부를 세웠던 땅, 망명정부를 꿈꾸었던 땅이 다시 용틀임해 북방경제의 바람으로 되살아나기를 바라면서 말들의 질주를 지켜본다. 가슴에서 뜨거운 무엇이 솟구쳤다. 
  
안중근 단지동맹비 앞에서 태극기를 펼쳐든 문영숙 작가. [연해주=장세정 논설위원]

안중근 단지동맹비 앞에서 태극기를 펼쳐든 문영숙 작가. [연해주=장세정 논설위원]

노령 임시정부(대한국민의회)의 모태는 1905년부터 싹이 터서 1910년 6월 21일 ‘십삼도 의군’이 편성됐고, 미주 한인회와 긴밀하게 교류했다. 신민회의 안창호와 이갑, 헤이그 특사 이상설 등이 1910년 8월 23일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新韓村) 한인학교에서 한인대회를 열고 성명회를 조직해 이상설을 정통령으로 세웠다.   
  
그러나 하얼빈 의거 이후 러시아는 일본의 압력으로 십삼도 의군 간부 이상설·이범윤 등 한인 지도자 20여 명을 체포해 투옥했다. 그 이후 한인의 정치활동은 큰 타격을 받았다. 
  
한인들은 그러나 다시 일어섰다. 1911년 6월 1일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조창호 집에서 권업회(勸業會)를 발기했다. 1914년 권업회는 한인 이주 50주년 기념식을 대대적으로 준비했다. 준비위원회 회장을 맡은 최재형은 재정을 책임지고 미주 신민회까지 초청해 대한제국의 건재를 만천하에 공표하려 했으나 제1차 세계대전으로 무산됐다. 
  
“무릇 한 줌 흙을 모으면/ 능히 태산을 이루고/ 한 홉 물을 합하면/ 능히 창해를 이루나니/ 작은 것이라도 쌓으면/ 큰물을 이룬다/ 아! 슬프다/ 우리 동포여.” 
  
우수리스크의 ‘최재형기념관’ 벽면에 태극기가 새겨졌다. [연해주=장세정 논설위원]

우수리스크의 ‘최재형기념관’ 벽면에 태극기가 새겨졌다. [연해주=장세정 논설위원]

1917년 러시아 혁명을 계기로 최재형·문창범·김학만 등 연해주 한인 지도자들은 우수리스크에서 ‘전로 한족회 중앙총회’를 조직했다. 당시 총회가 열렸던 건물 앞에서 최재형기념사업회 조미향 연해주지부장이 말했다. 
  
“총회가 열렸던 이 건물은 현재 우수리스크 11호 학교로 사용되고 있어요. 최재형 선생의 집과 불과 100여m 거리죠. 이 지역에서 한인들은 독립운동의 혼을 불태웠습니다.” 
  
1919년 2월 총회는 ‘대한국민의회’로 개칭하고 3월 17일 공식 출범했다. 의장 문창범(1870~1934)은 연해주 니콜 리스크에서 독립선언서를 발표했다. 손병희를 대통령, 박영효를 부통령,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임명했다. 제정 러시아의 동방정책으로 ‘동방을 정복하라’는 뜻을 지닌 블라디보스토크.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는 신한촌 기념비가 우뚝 서 있다. 고려인·대한민국·북한을 상징하는 세 개의 대리석 기둥이 하나가 되는 날은 언제일까.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네 살 때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이주당했던 고려인 최소망(86) 할머니를 최근 완공된 우수리스크의 최재형기념관 앞에서 만났다. 강제이주 1세대로 나라 잃은 설움과 고초를 온몸으로 겪은 할머니께 독립운동에 관해 물었다. 
  
“내 나이 여든여섯이오. 부모님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는 게 꿈이었소. 지금 내 꿈은 남과 북이 하나가 되는 것이오. 원래대로 말이오.”  


[출처: 중앙일보] “이토 히로부미 처단” 안중근, 노비 출신 최재형과 결의 그 후 10년 연해주에 첫 임시정부가 탄생했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천로 45, 1층(선부동 979-11) T. 031-493-7053 / F.031-494-7050
  COPYRIGHT(C)2014.JAMIR.OR.KR.ALL RIGHT RESERVED.